우리나라의 김치는 재료, 발효 방식, 계절, 지역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, 각기 다른 맛과 풍미를 자랑합니다. 아래는 대표적인 김치 종류와 그 특징 및 담그는 방법을 정리한 표입니다.
각 김치의 담그는 방법은 재료의 손질, 절임, 양념의 배합, 숙성 기간 등에 따라 다르며, 지역과 가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. 주로 그지역에서 많이 나는 식재료를 활용해서 김치 등을 담가 먹는다.
*목차 : 김치종류, 김치담그는 방법, 간단한 레시피*
연번 |
종류 |
특징 및 담그는 방법 |
1 |
배추김치 |
가장 일반적인 김치로, 절인 배추에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새우젓, 멸치액젓 등을 섞은 양념을 넣어 숙성시킵니다. |
2 |
백김치 |
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아 맵지 않고 시원한 맛이 특징이며, 배추에 무, 배, 밤, 대추 등을 넣어 담급니다. |
3 |
동치미 |
무를 주재료로 하여 물김치 형태로 담그며, 시원하고 깔끔한 국물 맛이 특징입니다. |
4 |
총각김치 |
총각무를 통째로 사용하여 담그며, 아삭한 식감과 매콤한 맛이 특징입니다. |
5 |
깍두기 |
무를 깍둑썰기하여 담그는 김치로, 아삭한 식감과 감칠맛이 특징입니다. |
6 |
열무김치 |
어린 열무를 사용하여 담그며, 여름철에 시원하게 먹기 좋습니다. |
7 |
갓김치 |
갓 특유의 매운맛과 향이 특징이며, 전라도 지역에서 많이 담급니다. |
8 |
파김치 |
실파나 쪽파를 사용하여 담그며, 매콤하고 감칠맛이 뛰어납니다. |
9 |
부추김치 |
부추를 주재료로 하여 담그며, 부추의 향과 감칠맛이 특징입니다. |
10 |
오이소박이 |
오이에 소를 넣어 담그는 김치로, 아삭한 식감과 시원한 맛이 특징입니다. |
11 |
나박김치 |
무와 배추를 얇게 썰어 담그는 물김치로, 시원하고 깔끔한 국물 맛이 특징입니다. |
12 |
석박지 |
무를 두툼하게 썰어 담그는 김치로, 아삭한 식감과 깊은 맛이 특징입니다. |
13 |
보쌈김치 |
다양한 재료를 배추로 싸서 담그는 김치로, 풍부한 맛과 식감이 특징입니다. |
14 |
김장김치 |
겨울철에 대량으로 담그는 김치로, 장기간 보관하며 먹을 수 있도록 양념을 진하게 합니다. |
1. 배추김치 (Baechu Kimchi)
- 재료: 배추, 무, 쪽파, 대파, 마늘, 생강, 고춧가루, 멸치액젓, 새우젓, 설탕, 매실액 등
- 담그는 방법:
- 배추를 반으로 자르고, 굵은소금을 뿌려 절입니다.
- 절인 배추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합니다.
- 무는 채 썰고, 쪽파와 대파는 적당한 길이로 썰어 준비합니다.
- 양념 재료를 모두 섞어 양념장을 만듭니다.
- 절인 배추에 양념장을 골고루 발라 숙성시킵니다.
2. 백김치 (Baek Kimchi)
- 재료: 배추, 무, 배, 대추, 밤, 마늘, 생강, 소금 등
- 담그는 방법:
- 배추를 절여 물기를 제거합니다.
- 무와 배는 채 썰고, 대추와 밤은 적당한 크기로 썰어 준비합니다.
- 마늘과 생강은 다져서 준비합니다.
- 모든 재료를 섞어 소를 만들고, 배추 사이사이에 넣습니다.
- 적당한 소금물에 담가 숙성시킵니다.
3. 동치미 (Dongchimi)
- 재료: 무, 배, 마늘, 생강, 고추, 소금, 설탕 등
- 담그는 방법:
- 무를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기고, 적당한 크기로 썰어 소금에 절입니다.
- 배는 얇게 썰고, 마늘과 생강은 다져서 준비합니다.
- 모든 재료를 섞어 항아리나 용기에 담고, 적당한 양의 물을 부어 숙성시킵니다.
4. 총각김치 (Chonggak Kimchi)
- 재료: 총각무,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멸치액젓, 새우젓 등
- 담그는 방법:
- 총각무를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기고, 소금에 절입니다.
- 마늘과 생강은 다져서 준비합니다.
- 모든 양념 재료를 섞어 양념장을 만들고, 절인 총각무에 버무려 숙성시킵니다.
5. 깍두기 (Kkakdugi)
- 재료: 무,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멸치액젓, 새우젓 등
- 담그는 방법:
- 무를 깍둑썰기하여 소금에 절입니다.
- 마늘과 생강은 다져서 준비합니다.
- 모든 양념 재료를 섞어 양념장을 만들고, 절인 무에 버무려 숙성시킵니다.
6. 열무김치
- 재료: 열무, 무, 쪽파,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멸치액젓, 새우젓, 소금
- 담그는 방법:
- 열무와 무는 깨끗이 씻고 먹기 좋게 썬다.
- 소금을 뿌려 살짝 절인다.
-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액젓 등으로 양념장을 만든다.
- 절인 열무와 무에 양념장을 버무려 숙성시킨다.
7. 갓김치
- 재료: 갓, 마늘, 생강, 고춧가루, 멸치액젓, 새우젓
- 담그는 방법:
- 갓은 씻어 물기를 뺀 뒤 적당히 자른다.
- 마늘, 생강을 다지고 고춧가루, 젓갈류와 함께 양념장을 만든다.
- 갓에 양념장을 골고루 버무려 숙성시킨다.
8. 파김치
- 재료: 쪽파,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멸치액젓, 새우젓
- 담그는 방법:
- 쪽파를 다듬고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.
- 양념장을 만들어 파 뿌리 부분에 먼저 묻힌 뒤 전체를 감싸듯이 양념한다.
- 항아리나 밀폐용기에 담아 숙성시킨다.
9. 부추김치
- 재료: 부추, 마늘, 생강, 고춧가루, 액젓, 멸치젓 또는 새우젓
- 담그는 방법:
- 부추를 깨끗이 씻어 적당한 길이로 자른다.
- 양념장을 만들어 부추에 가볍게 버무린다.
- 빠른 시간 안에 숙성해 먹는 겉절이 형태로 즐긴다.
10. 오이소박이
- 재료: 오이, 부추, 양파, 마늘, 고춧가루, 새우젓, 소금
- 담그는 방법:
- 오이를 십자 모양으로 갈라 소금물에 절인다.
- 부추, 양파, 마늘 등을 섞어 양념소를 만든다.
- 절인 오이 안에 양념소를 채운다.
- 용기에 담고 짧은 시간 숙성 후 먹는다.
11. 나박김치
- 재료: 무, 배추, 배, 고추, 마늘, 생강, 소금, 설탕
- 담그는 방법:
- 무와 배추를 얇게 썬다.
- 마늘, 생강은 다져서 물에 풀고 체에 걸러 국물을 만든다.
- 재료를 국물에 넣고 소금, 설탕으로 간하여 숙성시킨다.
- 국물이 많은 물김치로 차갑게 먹는다.
12. 석박지
- 재료: 무, 고춧가루, 마늘, 생강, 멸치액젓, 새우젓
- 담그는 방법:
- 무를 두껍고 큼직하게 썰어 소금에 절인다.
- 마늘, 생강을 다지고 고춧가루, 액젓으로 양념장을 만든다.
- 절인 무에 양념장을 버무려 숙성시킨다.
13. 보쌈김치
- 재료: 배추, 무, 배, 밤, 대추, 굴, 젓갈, 고춧가루, 마늘, 생강
- 담그는 방법:
- 배추를 절이고 한 장씩 펼친다.
- 무와 배, 밤, 대추, 굴 등을 양념과 섞어 속재료로 만든다.
- 속재료를 배추로 싸듯이 감싸고 차곡차곡 담는다.
- 오래 숙성하지 않고 신선하게 먹는 경우가 많다.
14. 김장김치
- 재료: 배추, 무, 쪽파, 마늘, 생강, 고춧가루, 젓갈류, 찹쌀풀 등
- 담그는 방법:
- 대량으로 배추를 절인다.
- 무와 파 등을 썰고 마늘, 생강, 고춧가루 등으로 양념장을 만든다.
- 찹쌀풀을 만들어 양념에 섞어 풍미를 더한다.
- 배추 사이사이에 양념을 채워 넣고 큰 용기에 담아 장기 보관용으로 숙성시킨다.